변연엽

**인간 변연계 뇌** 변연계는 시상하부의 중앙 부분과 그 주변에 있는 전뇌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과학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시대에 뒤떨어진 용어입니다. 여기에는 편도체, 해마, 치아이랑, 전두엽 피질, 소뇌, 뇌교, 간뇌 등의 다른 구조가 포함됩니다. **심리학과 정신의학의 림보**. 이 용어는 19세기 중반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가 의지의 심리학을 정의한 그의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쇼펜하우어는 『새로운 윤리에 관한 에세이』에서 도덕성은 사랑이나 연민을 통해 타인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며, 이것이 바로 그가 '사랑'과 '도덕'의 개념을 결합한 이유입니다. 림보는 감정, 애정, 자기 희생, 신뢰, 부드러움, 자비, 이해가 지배하는 "영혼의 세계"또는 삶의 영역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느끼는 모든 것과 자신을 동일시하는데, 이는 행복하고, 사랑하고, 동정하고, 용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원 밖에는 우리가 이기주의, 즉 제한된 희생의 원칙이라고 부르는 단 하나의 다른 원칙이 있습니다..." 쇼펜하우어는 말합니다. 쇼펜하우어는 개인이 자유 의지로 더 많은 것을 얻기 위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작은 것을 참을 수 있는 과정, 즉 진정한 품질의 자발적인 삶을 대조합니다. 이것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동일시하는 자기희생적인 행위입니다. 희생의 개념은 림보의 원리에 따라 성격을 변화시키는 삶의 모든 위대한 원리의 특징입니다. 20세기 중반에 이 용어는 러시아 심리학자 S. Levin, O. Kernberg, A. Fenko가 후자의 작품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