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학

인덕터그래피 - (inducto- + Greek grapho 쓰기, 묘사) 제어된 제품이 센서의 인덕턴스 코일을 통해 이동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자속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에 기반한 비파괴 테스트 방법입니다.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제품의 표면 및 표면 아래 결함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균열, 박리, 기공, 함유물 등 다양한 결함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재료의 결함이 자기장의 균일성을 방해하고 자속이 산란되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자속의 변화를 기록함으로써 결함의 존재 여부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덕터그래피는 주조 부품, 용접부, 파이프, 레일, 와이어 및 기타 제품과 재료를 검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도그래픽 기록(Inductographic Recording)은 교류 전류에 의해 인덕터에서 전자기 진동이 여기될 때 형성되는 자기장의 전기적 기록입니다.

평면에 자기장을 기록하는 이 방법은 와전류를 이동시켜 자기장 유도의 수평 성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됩니다(패러데이 효과). 주로 변화하는 자기장에서 물질의 자기 특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I.G.의 도움으로 강자성체의 자기 특성(예: M.-T. Odenburg의 자화 곡선), 스핀 분극 물질(Stern-Gerlach 곡선) 등이 기록됩니다. 현대 I.G. 장비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에서 사용됩니다. 실험실에서는 움직이는 와전류 유도장의 수평 성분이 아니라 교류 자기장 유도의 수직 성분이 기록됩니다.

최대 기록 빈도가 약 3ms인 유도 그래픽 기록 장치는 2~3분의 시간 분해능을 허용합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얇은 핵빔이 샘플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자기 모멘트 펄스의 앞부분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대 0.1-1% c의 자속 변화율에 대한 인간의 "인식"은 인간의 인식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유도 그래프 장치의 완전한 관성은 이 방법의 본질과 모순됩니다.

이 방법에 대한 관심은 점차 사라지고 핵 광학 방법으로 대체됩니다. 응용 분야는 응집 물질, 원자핵 및 원자핵의 자기 특성에 대한 연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