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대 반월상측두엽 후방

후방 반월판측두엽 인대(lat. ligamentum meniscotemporale Posterius)는 측두하악 관절의 인대 중 하나입니다.

인대는 관절원판(반월판)의 뒤쪽 가장자리를 측두골 관절 결절의 뒤쪽 부분에 연결합니다. 반월판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뒤쪽과 옆쪽으로 향하여 관절 결절의 뒤쪽 표면에 부착됩니다.

인대는 하악골의 움직임 동안 반월판의 후방 변위를 제한합니다. 또한 변위 후 메니스커스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작업에도 관여합니다.

인대는 삼각형 모양이며 조밀하고 탄력성이 없는 섬유 조직으로 구성됩니다. 안면 동맥 가지에서 혈액이 공급됩니다. 신경 분포는 삼차 신경의 가지에 의해 수행됩니다.



반월상연골인대와 후측두인대

측두골 뒤쪽에 위치한 두 개의 인대는 후방 수막-측두엽 인대(l. m. temporomandibulare Posterior)와 후방 변연 반월판 인대(m. pterygoideus lateralis medialis)입니다. 그들은 서로 묶여 악관절의 강한 탄력성 인대층을 형성합니다.

변연반월경인대(m. Pterygoid medialis)의 주요 기능은 관절원판을 변위시켜 하악 치아의 탈구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Menangio-Dental Posterior Ligament는 상악 턱과 하악 턱을 함께 묶어 자체 축을 중심으로 하악의 더 나은 회전을 보장하고 부정 교합이나 경사 교합으로 인해 상악 치아에서 치아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것이 바로 치과 전문의가 이러한 인대를 평가하고, 수술 중 하악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재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어려운 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수술을 수행하기 전에 인대에 대한 전체 엑스레이를 요구하는 이유입니다.

관자놀이가 약하다는 것은 "인대가 부족하다"는 뜻인가요?

악관절의 가장 흔한 골절은 SVA로, 이는 악관절 복합체 전체를 묶어주는 인대의 장력이 부족하거나 모양이 이상하거나 끊어진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매우 흔한 골절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들은 귀에 방사되는 통증, 청력 문제, 메스꺼움, 기억 상실 및 언어 장애를 호소합니다. 병변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딱딱한 물건을 물어뜯는 행위, 턱에 강한 힘을 가하는 행위, 얼굴에 강한 타격을 가하는 행위 등이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후 SVA는 전체 기능을 회복하고 이 기간을 사용하여 폐색(물림)을 개선하여 위험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성인, 발달 중인 신체(청소년기), 여성(호르몬 변화로 인해), 임산부, 노인, 암 환자(두경부에 종양이 있는), 알코올이나 약물을 사용하는 사람.

그러나 SVA의 모든 결과가 손상된 인대의 수술적 복구로만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환자들이 연구개 기능 장애, 턱 떨림, 혀 기능 장애 증후군("천명음순"), 언어 장애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조직/근골격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장애 및/또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다년간의 통합 접근법 - 수술, 의약 및 행동. SVA와 관련된 치료 접근법의 다양한 조합이 있습니다. 일부는 의사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다양한 치료 방법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치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오류를 교정하거나 복구하려면 또 다른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복구 가능성에 대한 위험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