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장염

만성 장염에 걸린 어린이의 85%는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입니다. 급성기가 없는 성인 환자의 65~75%가 매년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환자의 절반은 평생 동안 이 질환을 앓는다. 여성의 경우 질병 발병이 남성보다 2~4배 더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식습관과 장내 미생물의 질적 구성 위반으로 인한 것입니다. 고대에는 어떤 형태의 질병을 디프테리아라고 불렀습니다. 1937년에 역학자 야코프 그로마셰프스키(Yakov Gromashevsky)는 종종 발진티푸스 감염으로 바뀌는 "디프테리아"를 "장티푸스"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일부 저자들은 이 질병이 1882년에 나중에 "대장균"으로 알려지게 된 위궤양에서 박테리아를 분리한 미국 미생물학자 Jacob A. Miescher에 의해 발견되었다고 믿습니다. 미생물은 20세기 초에 "inframicrococcus"(inframicrobes와 유사하게)로 알려진 E. coli Bacterium coli 속이 발견될 때까지 수년 동안 이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