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겔만 지수

Kugelman 지수 또는 Quinkel 지수는 단식 중 혈당 수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3시간 후 최대 혈당치와 동일한 간격 후 최소 혈당치의 비율을 측정하여 결정됩니다. 환자의 포도당 수준이 가능한 최대치 이하로 감소하면 Kugelman 지수가 증가하여 간에서 포도당 대사 장애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간경변증 환자의 탄수화물 대사 장애의 중증도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Kugelman의 1947년 연구에서는 글리코겐과 케톤체의 순환 수준이 탄수화물 대사 장애의 유무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추가 연구에서는 인체의 탄수화물 순환 활동에 따라 이러한 지표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는 최저 공복 혈당 수치와 혈당 수치의 일주기 변동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 낮은 최대 포도당 값은 간에서 탄소 대사를 위반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대사 장애는 일반적으로 간 질환, 즉 간경변과 관련이 있습니다. 쿠겔만 지수는 간에서 탄수화물의 대사 프로필을 반영하기 때문에 공복 혈액 검사 후에만 결정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간을 자극하고 혈액량 증가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의 사용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Kugelman 지수는 간에서 탄소 대사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호르몬 아드레날린 투여 후 몇 시간 후에 혈당의 최대 농도와 최소 농도의 비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다양한 질병과 상태에서 간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드레날린 투여 후 최대 혈중 당 농도는 투여 2시간 후 약 150mg/l에 도달합니다. 설탕 수준이 이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이는 정상적인 탄소 대사 수준이 감소했음을 나타냅니다.

쿠겔만 지수의 변화는 간경변, 간염 또는 신부전과 같은 소화기 계통의 다양한 질병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이 지표의 감소는 대사 장애를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피네프린 투여 후 혈당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면 이는 간의 포도당 흡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ugelman 지수는 간 기능과 탄수화물 대사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진단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쿠겔만 테스트를 사용할 때 약물, 식이 성분 등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생제, 항알레르기제, 이뇨제와 같은 특정 약물을 복용하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탄수화물이 풍부한 일부 식단은 혈당 수치를 높이고 쿠겔만 지수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